Coding and Error Control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WEB/NETWORK

Coding and Error Control

1. Background Knowledge -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다음은 간단하게 요약된 무선통신 시스템의 모습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크게 4가지 단계를 거친다. 1. Source Coding: 정보 압축단계 2. Channel Coding: 에러 검출 및 수정 3. Modulation: 변조과정 4. Transmitter: 전송 [공기를 통해 RF통신(이건 아날로그)] 1. Receiver: 송신 2. Demodulation: 복조 3. Channel Decoding: 에러 검증 및 정정 4. Source Decoding: 압축을 푸는 과정 본 글에서는 Channel Coding을 다룰 예정이다 2. Coding and Error Control 송/수신 과정에 있어..

2023.04.12 게시됨

Digital Signal Encoding Techniques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WEB/NETWORK

Digital Signal Encoding Techniques

1. Background Knowledge -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다음은 간단하게 요약된 무선통신 시스템의 모습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크게 4가지 단계를 거친다. 1. Source Coding: 정보 압축단계 2. Channel Coding: 에러 검출 및 수정 3. Modulation: 변조과정 4. Transmitter: 전송 [공기를 통해 RF통신(이건 아날로그)] 1. Receiver: 송신 2. Demodulation: 복조 3. Channel Decoding: 에러 검증 및 정정 4. Source Decoding: 압축을 푸는 과정 본 글에서는 Modulation을 다룰 예정이다. 2. Digital Signal Encoding Techniques 이 부분..

2023.04.12 게시됨

The TCP/IP Protocol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WEB/NETWORK

The TCP/IP Protocol

TCP/IP Protocol TCP/IP 4계층과 OSI 7계층을 중심으로 1. Introduction 프로토콜(Protocol)은 특정 목적을 이루기 위해 정한 약속이다. 인터넷도 동일하다. 본 글에서는 TCP/IP 프로토콜의 구성 및 실제 통신 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분석할 것이다. 나아가 OSI 7계층과 비교하였을 때 왜 TCP/IP 프로토콜이 더 주를 이루는지에 대해서도 다룰 것이다. 2. TCP/IP Protocol TCP/IP Protocol은 크게 5 레이어로 나뉜다. (보통 4개의 레이어로 나누지만, 학교에서 사용하는 교재가 5레이어라고 해서 다음과 같이 적는다.) Application Layer (응용계층) Transport Layer (전송) Internet/Network Layer ..

2023.03.27 게시됨

[2022] 2022 작업물 Recap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etc/Photoshop Archive

[2022] 2022 작업물 Recap

KISA 불법유통 방지 모니터링단 참여 KISA 우수상(원장상) 수상 후기 Link: https://dokhakdubini.tistory.com/557 [KISA] 2022 개인정보 불법유통 방지 모니터링단 후기 2022 개인정보 불법유통 방지 모니터링단 후기 KISA 우수상 원장상 수상 이번에 KISA와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함께 진행했었던 '개인정보 불법유통 방지 모니터링단'에 참여했었습니다. 그리고 너 dokhakdubini.tistory.com 고려대학교 에너지신산업 혁신공유대학 서포터즈 참여 : https://www.instagram.com/newenergyindustry_ku/ 2022/04/06 ~ 2022/08/26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글로벌 생생 통신원” 수료

2023.03.08 게시됨

Hashing with Salt and Pepper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Crypto

Hashing with Salt and Pepper

Hashing with Salt and Pepper Server-Side Password Storage 1. 개요 해시함수는 실생활에서도 자주 이용되고 있습니다. 임의의 값에 대해 고정된 길이로 매핑할 수 있기 때문에 보통 hash table의 형태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단순한 해시 함수가 아닌, Salt와 Pepper를 사용한 해시 함수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합니다. 2. 배경지식 예를 들어 한 서비스에서 비밀번호를 hash table의 형태로 관리하고 있다고 가정합시다. 그러면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hash table이 저장되어있겠죠? User Hash Alice 20A0B08E69 Bob 630B0260BC Charlie 20A0B08E69 Daisy 82B97C9972 그러면 예를 들..

2023.01.04 게시됨